반응형

좋은 점을 찾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예전엔 좋았는데 지금은 안 그런 부분이 늘어서 매력이 떨어지긴 했지만

전혀 없는 건 아닙니다. 그리도 업종에 따라서는 한국시장이 경쟁이 치열해서 일본의 느릿한 환경이 주는

편안함이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

 

저도 예전엔 '일본이 한국에 비해 낙후해서'라고 생각했지만 최근들이 '일본과 한국은 가는 길이 달라서'라고 

생각을 바꾸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80,90년대 일본의 최전성기(!)의 잔광 때문에 여전히 서양에선 한국보다 일본을 좀 더 선호하는 부분도 있고요...

 

저는 보안 컨설팅 일을 하고 있고, 이 업무로 한국에 갔을 경우엔 아마 이 쪽 일을 하기 힘들 정도로 제가 구닥다리 일거라 

생각하는 1인입니다. 그건 한국이 워낙 트렌드에 빠르고 워낙 선진화 되어있어서 일 것입니다.

특히 이쪽 일은 한국에서는 조금만 뒤쳐지면 바로 나가리(!)이고 고객도 워낙에 꼼꼼하다 보니, (특정 고객군은 거이 진상이고...)

제가 일본에서는 조금 일할만(!)합니다.

 

더군다나, 해외기업이 아시아에 거점을 세우면, 홍콩의 매력이 증발해서 싱가포르 아니면 동경에 중심을 둡니다.

그도 그럴게, 아시아에서 매출이 발생하면 그 절반은 일본에서 올려주기 때문입니다. 싱가포르가 아무리 날고뛰어도 

일본 시장을 무시할 수 없을 만큼 무게가 있습니다. 그것이 모두 일본 기업에서 나오는 것은 아니고 (일부 외자계도 역할이 크죠)

일본이 은근 서양 제품(!)을 좋아하는 이유도 있다고 봅니다.

보통 한국의 고객은 보고서 같은걸 줘도, 제출해야 하는 산출물의 깊이와 디테일을 요구하는데, 아마도 고객은 그 자체로 

즉시 적용 가능한 수준을 요구합니다. 그와 달리 일본은 산출물로 다시 연구(!)를 하는 사업을 따로 발주하기 때문에, 굳이

디테일이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작은 회사보다 큰 회사에 그런 업무를 추진하려는 경향도 크죠.

 

뭐 아무튼, 제가 있는 업종에선 그나마 한국보단 시장의 속도가 빠르지 않고, 생태계가 나름 잘 보전되어 있어서 먹고사는데

한국보다 덜 치열하다는 점이 매력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이쪽 분야는 사람이 부족(물론 이건 전 세계 공통)하다 보니, 사람을 뽑고 쓰는데 돈을 아끼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상하게 한국은 인원이 없는데도 인건비가 좀 짭니다.... 물론 높은 수준의 능력자는 거기서도 스타 대우를 받습니다만,

저 같은 그냥 일꾼에겐 자비가 없죠... 그런 점에서도 일본은 매력적인 건 사실입니다.

 

약간 사족이지만, 부동산도 서울에 비해 도쿄가 그래도 손에 닿을 것 같다는 점도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아주아주 극히

개인적인 견해인 건 맞습니다만... 팔고 나서 돌아서면 후회하는 게 서울의 부동산 같습니다... 올라서 후회하는 게 서울이라면

떨어져서 후회하는게 동경 아닌가 싶어요...(본전이면 정말 행운 같습니다...)

 

뭐 아무튼, 이래저래 일본 오래 살았던 것 같지만, 워낙에 대충 살다 보니 이제 겨우 집 장만한 처지에서 그래도 전 일본에 

살아서 그나마 내가 이 정도 먹고 사는구나 하고 일본행을 선택한 것에는 후회가 없습니다. 

뭐 후회라면... 역시 맛난 떡볶이...ㅜㅜ

 

사족: 아 생각해보니 정치를 깜빡했네요... 국내 정치 말고 회사 내 정치.... 그것도 큰 요소였죠. 차라리 내가 외국인이 돼서 

동료들과 그런 일이 엮이지 않겠구나...(라고 한때 생각했던...)는 아니고 비교적 한국보다 덜 정치에 휘말리더라;;; 정도입니다만...

반응형
반응형

아주 전형적인 이유이지만, 일본의 문화에 대한 호감에서 시작한 것 같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1980년대의 일본 고도 성장기의 문화로, 일본 애니메이션에서부터 지금도 ‘시티팝’이라 불리는 일본 특유의 가요에 매료되었다고 해야겠다.

 

이야기를 거슬러 올라가, 처음 일본이라는 나라에 대해 인지하기 시작했을 때 이야기부터 시작해보려 한다. 내가 국민학생(!)이었던 시절, 친척집에서 우연히 잠자리 그림이 그려진 메이커의 ‘형광펜’이라는 신기한 물건을 접하게 되었다. ‘MADE IN JAPAN’이라는 형광펜에 새겨진 글자를 보았고, 그때 일본이라는 나라가 있다는 걸 처음 인지했다. 그때가 1986년 즈음이었는데, 그 이후 서울 올림픽 개회식을 녹화하려고 산 비디오 데크 덕분에 비디오 대여점에서 일본 애니메이션을 빌려다 보며 일본 애니메이션에 빠져들었다. 마크로스, 철인 28호, 킹 라이온 등을 정주행 한 것도 이 때다. 그러다 1989년 내가 중학교 1학년이 되었을 때, 지옥의 외인부대라는 애니메이션을 공중파에서 처음 접하게 되었는데, 그림의 섬세함과 어른의 세계를 다룬 내용에 매료되어 이 일본 애니메이션에 흠뻑 빠지게 되었다. 그 후, 느린 인터넷 속도에도 불구하고 더욱 적극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애니메이션을 구해 보기 시작했고, 일본 문화에 본격적인 호감을 갖기 시작했다. 2000년 군 제대 후 알바 급여를 털어 첫 해외 배낭여행을 하기로 결심했고, 목적지는 도쿄로 정했다.

 

 

당시 나는 일본어를 전혀 하지 못했는데, 고등학교 때 일본어를 제 2 외국어로 배웠지만, 1년간 4번의 시험 총점이 100점이었을 정도로 관심이 없었다. 그런 연유로, 일본 여행 때 일본어를 못 하는 것에 대한 대비책으로 500페이지가 넘는 가이드 북을 통째로 외우기로 했다. (여담이지만 나로서는 나름 합리적인 결정이었다!) 이때 일본의 관광지, 지명, 기본적인 역사적 배경 등을 주입식 교육으로 습득하게 되었다. 그게 바탕이 돼서 여행을 다녀온 후, 일본 전문 여행사에 취업 제의를 받고 대학 4학년 여름에 여행사의 웹 마스터로 입사하게 되었다. 여행사를 다니는 4년 동안 현장 답사 같은 일을 해왔지만 그때까지도 내가 일본어로 유창하게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는 꿈도 꾸지 못했다.

 

반응형

'글로벌 취업 표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경력직 IT 취업 정보 공유  (0) 2022.08.27

+ Recent posts